본문 바로가기
대학학과

정치외교학과, 정치인의 졸업학과 비중 80% 차지하다!

by funfungirl 2022. 7. 4.
반응형

정치외교학과 교육과정 및 진로에 대해 알아보기

외교에도 관심이 있고, 정치에도 관심이 있는 학생들 중에서 사회과학대학 소속의 학과인 정치외교학과가 어떤 곳인지, 교육과정과 졸업 후 진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치외교학과는 국제정치학이라는 정치학 쪽의 세부분야 중 하나입니다. 많은 대학에서 정치외교학과가 있는데, 대학에서 그 성격에 따라서 어떤 곳은 국제관계학과 쪽으로 편성이 되어있고, 어떤 곳은 행정학과 쪽으로 편성을 하고 있습니다.

 

정치외교학과 교육과정

정치외교학과에 들어가게 된다면 공법, 행정, 공공정책 등의 법 쪽의 분야는 전혀 다루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이 법학과나 행정학과 쪽으로 복수 전공을 많이 하고 있다고 합니다. 미국에서는 학부에 법학과가 따로 없기 때문에 정치외교학과에서 법을 함께 배우게 되지만, 대한민국은 법학과가 따로 있으므로 법학 쪽으로는 법학과에서 따로 배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정치외교학과에 입학을 하게 된다면, 이론과 시사 상식에 있어서 균형을 갖추면 좋습니다. 또한 조별과제와 스터디 등의 팀플레이가 많다는 것이 특징이므로 팀을 이뤄서 하는 수업에 자신이 없다면 고려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정치외교학과 진로

정치외교학과는 본인의 관심에 따라서 지원을 하겠지만, 취업에 유리한 학과는 아닙니다. 그래서 보통은 5급 공채, 정치 시사부 언론인, 국가정보원 시험을 보게 되면 정치나 시사 쪽으로 식견을 요구하게 되지만, 정치학 자체로서는 취업에 있어서 크게 도움 되는 학문은 아닙니다.

 

하지만 정치인에 관심이 있거나 하는 학생이라면 도움이 많이 되는 학과라고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국회의원, 시의원, 도지사 등의 인사들의 학과를 살펴보면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인재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시민단체 운동가, 국회의원실 직원, 정당의 당직자, 정치인 보좌관, 외교관으로 근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정치 방면으로 진출하게 되는 경우도 극히 일부이고, 일반 기업으로 취직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그래서 특별히 정치 쪽에 관심이 있는 게 아니라면 차라리 다른 취업이 잘 되는 학과로 가는 편이 더 나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반응형

댓글